KT로 이동 시 선택약정 해지 위약금에 대해!

김*혜2025.03.25 11:22

SKT를 사용하다가 이제 KT로 이동하려고 생각 중이신가 봐요. 현재 쓰고 있는 단말기 할부는 4월에 끝났고, 선택약정 할인 제도라는 것에 가입되어 있다 하네요. 약정기간은 올해 10월까지라는데, 이 경우에 통신사를 바꾸면 위약금이 얼마나 나올까요?
조회 1,780
공감 댓글

1의 답변이 있어요

봉*우2025.03.27 19:55
SKT에서 KT로 이동하려면 먼저 선택 약정 해지에 따른 위약금을 고려해 봐야 해요. SKT의 경우, 선택 약정 해지를 하면 할인받은 금액 중 25%만 반환하면 돼요. 공시 지원금 위약금은 남은 약정 기간에 비례해서 계산돼요. KT의 경우, 선택 약정 위약금이 남은 기간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공시 지원금 위약금은 100%를 반환해야 할 수도 있어요. LG U+는 약정 기간의 절반 이상 사용 시 반환금이 줄어들고, 공시 지원금 위약금은 남은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아직 약정기간이 남아 있다면, 위약금이 발생할 수 있으니, 고객센터나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정확한 금액을 확인해 보세요. 그런 후 KT로 이동을 결정하면 좋을 것 같아요.
공감
댓글
이 글과 관련된 질문이에요
통신사 선택약정 해지 위약금 계산, 어떻게 할까?
통신사의 선택약정 할인제도를 이용하다가 중간에 해지할 경우 발생하는 위약금에 대해 궁금해요. 위약금이 어떻게 계산되는지, 약정 기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리고 기기변경이나 번호 이동 시에도 위약금이 부과되는지 알고 싶어요. 자세히 알려주세요!
핸드폰 선택약정 할인 프로그램을 중간에 해지하게 되면 발생하는 위약금을 자세히 알아볼게요. 1. 위약금 계산 방법: - 기기 변경 시 선택약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남은 기간이 새로운 기기로 승계되어 사용 가능합니다. 다만, 중도에 해지하면 위약금이 발생할 수 있으니 신중한 결정이 필요해요. - 번호 이동을 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위약금이 청구됩니다. 2. 1년 약정의 경우: - 약정 유지 기간이 3개월 이하인 경우, 누적 할인액의 100%를 반환해야 해요. - 4개월 이상 사용 후 해지하면 '누적 할인액 x (잔여 약정 일수 / (약정 기간 - 90일))'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3. 2년 약정의 경우: - 약정 유지 기간이 6개월 이하면 누적 할인액의 100%를 반환하게 돼요. - 7개월 이상 사용 후 해지할 경우, '누적 할인액 x (잔여 약정 일수 / (약정 기간 - 180일))'로 위약금이 계산됩니다. 약정을 해지하실 때는 약정 유지 기간과 위약금 계산 공식, 기기 변경 및 번호 이동에 따른 위약금 발생 여부를 충분히 고려하셔야 해요. 해지를 고민 중이라면 지금까지의 사용 기간과 남은 약정 기간을 꼼꼼히 따져보세요!
KT 결합 서비스 해지 시 위약금 발생 여부
KT의 인터넷, TV, 모바일 결합 서비스를 사용 중인데, 모바일을 SKT로 이동하려고 해요. 이 경우 결합 상태가 변경되면 위약금이 발생할까요? 또한, 인터넷과 TV는 계속 KT에 남을 건데, 이로 인해 월 요금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을까요?
KT 인터넷, TV, 모바일 결합 서비스를 사용할 때, 모바일을 SKT로 옮기면 결합 서비스가 변경되면서 몇 가지 변화가 있을 수 있어요. 1. 위약금 확인하기: 먼저, 결합 서비스에서 모바일 회선을 해지하게 되면 위약금이 발생할 수 있어요. 이 위약금은 가입 당시 맺은 약정 조건과 지금까지 받은 할인 금액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정확한 내용은 KT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하는 게 좋아요. 2. 요금 변동: 모바일 회선이 결합에서 빠지게 되면, 이제 인터넷과 TV만 결합된 상태가 됩니다. 이 경우, 기존에 받던 결합 할인율이 줄어들거나 사라질 수 있어요. 인터넷과 TV 요금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니, 이에 대한 부분도 KT 측에 문의해보시는 게 안전합니다. 3. KT 고객센터 이용하기: 모든 조건과 금액 변동에 대해서는 KT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현재 요금제나 결합 상품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부분이 많으니 상세한 정보를 제공받으세요. 이처럼 결합 해지나 이동은 물론,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요금 변화를 미리 꼼꼼히 체크하는 게 중요해요.
KT 기기 변경 시 위약금 소멸이 가능한 방법?
KT를 이용 중이고, 현재 아이폰을 사용하면서 2025년 12월까지 약정이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 사정상 2024년 5월에 갤럭시로 미리 교체하려고 하는데, 번호와 요금제를 그대로 유지하면 위약금이 유예되어 결국 소멸된다고 들었어요. 할부금은 일시불로 전환하거나 계속 할부로 두어도 괜찮고, 바꾼 기기를 12월까지 사용해야 위약금이 사라지는지 궁금해요. 모든 매장이 동일한지, 확인이 필요해요.
KT에서 기기를 변경할 때 번호와 요금제를 그대로 유지하면 위약금 발생 없이 기기만 변경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 할부금을 완납하거나 할부로 계속 지불하는 옵션이 있으며, 두 가지 방법 모두 위약금 유예에 도움을 줄 수 있어요. 다만, 매장별로 정책이 다를 수 있으니, 꼭 KT 고객센터나 매장 방문을 통해 구체적인 사항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안전해요. 기본적으로 기기를 바꾸고, 기존 요금제와 번호를 유지하며, 바꾼 기기를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하시면 위약금이 없음이 확인될 경우가 많습니다.
질문 더 찾아보기